포스트 목차
중국의 고등교육 전문 평가기관인 软科에서는 2025년 중국 대학 순위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순위에서는 중국 내 1000개 이상의 학사급 대학을 대상으로 했으며, 대학의 성격 및 유형에 따른 지표 체계를 적용해 종합대학, 8개 단과대학 유형, 4개 민간 대학 유형으로 나누어 평가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오늘은 최상위급 20개 대학을 추려 중국 대학 중 어떤 대학교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볼게요. 기사의 전문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2025년 중국 대학 순위 Top 20
대학 | 지역 | 유형 | 순위 | QS 세계 대학 랭킹 순위 |
---|---|---|---|---|
칭화대 | 베이징 | 종합 | 1 | 20 |
베이징대 | 베이징 | 종합 | 2 | 14 |
저장대 | 저장 | 종합 | 3 | 47 |
상하이교통대 | 상하이 | 종합 | 4 | 45 |
푸단대 | 상하이 | 종합 | 5 | 39 |
난징대 | 장쑤 | 종합 | 6 | 145 |
중국과학기술대 | 안후이 | 이공계 | 7 | 113 |
우한대 | 후베이 | 종합 | 8 | 194 |
화중과기대 | 후베이 | 종합 | 9 | 300 |
시안교통대 | 산시 | 종합 | 10 | 295 |
베이징항공항천대 | 베이징 | 이공계 | 11 | 452 |
중산대 | 광둥 | 종합 | 12 | 331 |
베이징이공대 | 베이징 | 이공계 | 13 | 302 |
하얼빈공업대 | 헤이룽장 | 이공계 | 14 | 252 |
쓰촨대 | 쓰촨 | 종합 | 15 | 336 |
둥난대 | 장쑤 | 종합 | 16 | 428 |
중국인민대 | 베이징 | 종합 | 17 | 621–630 |
퉁지대 | 상하이 | 종합 | 18 | 192 |
베이징사범대 | 베이징 | 사범대학 | 19 | 271 |
텐진대 | 텐진 | 종합 | 20 | 269 |
칭화대, 베이징대, 저장대는 11년 연속 Top 3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칭화대와 베이징대는 항상 중국 대학 중 1위를 두고 경쟁하는 대학이죠. 문과는 베이징대 이과는 칭화대라 불리는 만큼 두 대학의 위상과 역사는 대단히 높으며 중국의 수많은 학생들과 유학생들 또한 두 대학에 입학하기를 꿈꾸기도 합니다.
베이징대는 전통적으로 문과계열이 강세를 보이는 만큼 중어중문학과, 경제 경영등의 학과가 유명하며, 칭화대는 이공, 공학계열에서 두드러진 강세를 보입니다. 건축, 기계공학, 컴퓨터공학과등이 유명합니다.
이번 2025년 중국 대학 순위에서는 칭화대가 1위, 베이징대가 2위를 차지했지만 도리어 세계 대학 평가 순위에서는 베이징대가 14위, 칭화대가 20위를 차지했습니다. 세계 대학 평가 순위에서는 1위와 2위의 자리가 바뀐 셈인데요, 그러나 그 격차는 크지 않기에 두 대학은 언제나 중국 대학의 톱 자리를 두고 경쟁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좋겠네요.
중국 저장성에 위치한 저장대가 3위를 차지했습니다.
중국의 아이비리그라고 불리는 C9 연맹에도 속해있있는 저장대는 학풍이 아주 엄격하고 졸업요건도 까다롭기로 유명하죠. 그러나 그만큼 학생들에게 최고의 연구와 공부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아시아 최대규모의 도서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이런 대학의 학풍이 3위라는 자리를 만든 것이 아닐까 생각이 되네요.
저장대학도 종합대학인 만큼 많은 학과가 유명하나 그 중에서도 1급 국가 중점학과로 분류되어 있는 이공계열 : 수학, 전기공학, 경영과학, 재료과학등의 학과가 대표학과로 이름을 떨치고 있습니다.
이공계 계열에서는 중국과기대가 7위로 중국 대학 순위 중 최상위에 랭크가 되어 있습니다.
한국으로 이야기하면 카이스트에 비유할 수 있는 중국과기대는 중국 과학기술의 선봉으로 부를 수 있을만큼 압도적인 성과를 자랑하는데요, 중국과기대 또한 수학,물리,화학 등의 기초과학부터, 재료공학, 컴퓨터공학에 이르는 공학계열의 학과가 1급 학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19위의 베이징사범대가 전문대학 계열로써 제일 최상위인 19위를 차지한 것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다만 베이징사범대학의 경우, 사범대학이나 종합대학의 성격도 띄고 있습니다.)
2025년 중국 대학 순위에서 강세를 보이는 두 지역 - 베이징, 상하이
2025년 중국 대학 순위에서 각 대학교 순위를 펼쳐 보았을 때 눈에 띄는 지역은 역시나 베이징과 상하이입니다.
물론 저장대나 난징대와 같은 지역 거점 대학의 선전도 눈에 부시나 상위에 랭크된 대학중 상당 수가 베이징과 상하이에 분포가 되어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베이징과 상하이가 중국의 거점도시로써 역할을 하며 근대교육이 빠르게 도입된 이유도 있을 것이며, 중국 대학역사의 지난 과거를 돌아 보았을 때 연경대학이 해산 후 중국정법대학, 중앙재경대학등의 전문 대학으로 분교가 된 이유도 있을 것 같네요. 분교된 중국정법대학, 중앙재경대학 모두 중국의 유명 전문대학으로써 2025년 중국 대학 랭킹에 이름을 올리고 있기도 합니다.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베이징과 상하이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이 워낙 크고 베이징, 상하이 뿐만 아니라 여러 거점지역이 있음을 생각해 보았을 때 각 지역중점대학이 중국 대학 순위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더불어 중국 교육부가 쌍일류 정책을 공포하며 각 대학의 균등발전과 경쟁력 제고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때, 베이징과 상하이 외의 타 지역의 거점대학의 성장세가 가속화 될것도 당연한 흐름으로 보입니다.